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전력보안통신설비

by 대부짱 2025. 4. 23.
728x90

1. 정의 및 목적

  • 전력보안통신설비: 전력 계통의 안전한 운전, 점검, 보수, 원격 감시·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통신시설.
    • 전기적/과학적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계통 보호 및 효율적 운영을 지원.

2. 시설 대상 장소

  • 다음 장소에 반드시 설치:
    1. 원격 감시·제어가 불가능한 발전소·변전소·개폐소와 이를 관리하는 급전소 간.
    2. 2개 이상의 급전소 상호간 및 통합 운영 급전소 간.
    3. 수력발전소 상호간 (동일 수계, 긴급 연락 필요 시).
    4. 특별고압 가공전선로  5km 이상 고압 가공전선로.
    5. 고압·특고압 지중전선로가 설치된 전력구 내.
    6. 감시·보호가 필요한 기상대·소방서 등.

3. 통신선 시설 기준

  • 가공통신선:
    • 조가용선(메신저 와이어)을 사용해 전선로와 병행 설치.
    • 전력선과의 이격거리:
      • 고압: 0.8m 이상, 특고압: 1.2m 이상.
  • 지중통신선:
    • 전력구 내에 시설 시, 전력 케이블과 분리된 트레이 또는 덕트 사용.
    • 절연강도: 6kV 이상.

4. 전자유도·정전유도 방지

  • 특고압 가공전선로:
    • 약전류전선로(전력보안통신설비 제외)에 인체 위험 없는 수준으로 유도전압 제한.
  • 전력보안통신설비:
    • 가공전선로로부터의 유도작용으로 인한 위험 방지 설계.

5. 주요 시험 포인트

  • 출제 빈도 높은 내용:
    1. 시설 의무 장소:
      • 원격감시 불가 발전소·변전소, 5km 이상 고압 가공선로, 특고압 지중선로 전력구.
    2. 통신선 설치 방법:
      • 가공통신선은 조가용선 사용, 지중통신선은 전력구 내 분리 설치.
    3. 전압 기준:
      • 배전선로(22.9kV)에 연결된 분산전원용 발전소 포함.
    4. 저압전로 절연:
      • SELV(절연), PELV(절연접지), FELV(비절연) 구분.

6. 예상 문제 유형

  • 객관식 예시:
    Q. 전력보안통신설비를 시설해야 하는 곳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5km 이상 고압 가공전선로
    ② 원격감시 불가능한 개폐소
    ③ 22.9kV 배전선로에 연결된 분산전원용 발전소
    ④ 일반 주택가 옥외배선
     정답: ④

최종 요약:
전력보안통신설비는 전력 계통 보호와 원격 제어를 위한 핵심 시설로, 시설 의무 장소·통신선 기준·유도방지·절연규정을 중심으로 학습해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설치 위치 판단 통신선 시설 방법 관련 문제가 빈출됩니다.

728x90